– 한국 예대금리 논란, 쉽게 풀어보기!
요즘 뉴스에 자꾸 등장하는 ‘예대금리’.
“이게 뭐길래 대통령까지 나서서 언급하지?”
헷갈리는 금융용어, 지금부터 쉽게 정리해 보겠습니다.
📌 예대금리란?
예금금리는 은행이 나에게 돈 맡겨줘서 고마워요~ 하고 주는 이자
대출금리는 은행이 돈 빌려줬으니 이자 내세요~ 하는 요금
예대금리 = 대출금리 - 예금금리
예:
- 예금금리 2%
- 대출금리 6%
→ 예대금리 = 4%
이 차이로 은행은 돈을 벌어요. 싸게 맡아서 비싸게 빌려주는 셈이죠!
💣 그런데 요즘 문제는 뭐야?
최근 한국에서는 이 예대금리 차이가 너~무 크다! 는 지적이 나왔어요.
이재명 대통령도 "해외보다 심한 거 아냐?"라며 문제를 짚었죠.
📈 2025년 4월 기준 한국의 예대금리 차이: 1.48%p
2024년보다 더 벌어졌어요.
그런데 이게 왜 문제냐면...
🔍 소비자 입장에서 보면?
💸 예금은 찔끔
💸 대출은 껑충
은행들은 금리를 내릴 때, 예금금리는 빨리 내리고,
대출금리는 천~천히 내리는 경향이 있어요.
→ 결국 이자 장사는 더 잘 되는데, 서민 부담은 커지는 구조!
🌎 그런데 해외보다 진짜 심한 건가?
🙅♂️ 금융위원회는 이렇게 말했어요:
“아니에요! 해외보다 나쁜 편 아니에요.”
- 싱가포르: 예대금리 차 5.11%
- 홍콩: 4.98%
- 한국: 2.01% (평균 기준)
또한 미국 은행보다 **이자 장사 효율(NIM)**도 낮다고 해요.
→ 즉, "겉보기엔 벌어지는 것 같지만 실제론 덜해요!"라는 입장.
⚠️ 핵심 문제는 “얼마냐”보다 “어떻게 정하냐”
국민들이 화나는 건
▶ 예금금리 너무 짜다
▶ 대출금리에 각종 가산금리가 붙어 과하게 높다
▶ 금리 계산 방식이 너무 복잡하고 불투명하다!
그래서 정부는 금리 산정 과정을 더 투명하게 공개하고,
서민 금융 부담을 줄이기 위한 대책을 마련 중이에요.
✅ 마무리 정리
용어 | 뜻 | 현 상황 |
예대금리 | 예금과 대출 이자 차이 | 한국: 최근 더 벌어짐 |
문제 | 소비자 부담 증가, 은행 과도한 이익 논란 | 대통령도 언급함 |
해결책 | 금리 계산 방식 투명화, 정책 점검 | 정부 TF 가동 중 |
참고로, 2025년 기준 호주의 예대금리(대출금리와 예금금리의 차이)는 약 3.54%포인트로 추정된다고 하네요~~~~
'오늘의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오징어게임 시즌3 공개일 6월 27일 미리 보는 예상 시나리오 7가지 (1) | 2025.06.13 |
---|---|
🍔 맥도날드가 핫도그를? 한국 맥도날드, 이색 메뉴 ‘핫도그’ 출시! (3) | 2025.06.12 |
미국 LA 로스엔젤레스에 해병대 투입… 연방 vs. 주정부, 헌법 충돌의 서막 (1) | 2025.06.11 |
[호주뉴스] ⚽ 호주인 포스테코글루 감독, 유로파리그 우승 후 손흥민 소속 토트넘에서 경질 (2) | 2025.06.10 |
🎖️ 방탄소년단 RM·뷔 오늘 전역! BTS 완전체 컴백 임박? 🇰🇷 함께 알아보는 한국 군복무 의 모든 것 (8) | 2025.06.10 |